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아마 교직원 공제회에 등록되어 있으신 교직원 이실 겁니다. 교직원공제회에는 목돈급여 제도라는 게 있는데요. 한마디로 교직원들이 목돈을 안전하고 적정한 금리로 예치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저도 이번에 목돈이 생겨서 이 교원공제 목돈급여 신청을 진행해 보았는데요. 목돈급여 신청과 금리, 신청 방법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교직원 공제회 목돈급여란?
교직원이 여유자금을 저축하는 상품으로 회원의 목돈을 높은 금리로 저축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2. 금리는?
금리는 23.4.18 기준 4.8% 정도 됩니다. 현재 은행 예금금리를 보면 1금융권이 4% 정도 되니 그에 비해 충분히 매력이 있는 상품이라고 생각됩니다.
유형중에 부가금형과 예탁형은 예금처럼 목돈을 넣어놓고 이자를 받는 형식이며
부가금은 3개월,6개월,1년 기준으로 기한을 정해 기한마다 이자를 받습니다. 예탁형은 예탁금 청구 시 일시에 원금과 이자를 수령합니다. 적립형은 적금같다고 생각하시면 되는 상품으로 매월 일정액을 납부한 후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수령합니다.
(다만 변동금리이므로 추후 금리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이는 고려하셔야 합니다. 저는 앞으로 기준금리가 낮아질 거라고 예상하여 부가금유형으로 3개월마자 이자를 받는 형식으로 했습니다. 지금은 이자를 4.8% 준다고해도 추후 금리가 낮아지면 변동금리 적용에 따라 수령이자도 낮아질 수 있으니 4.8% 높은이자 일때 조금이라도 더 미리 받아놓으려는 생각이었습니다.)
3. 안전한지?
교직원 공제회는 특별법에 의해 안정성을 보장받는 상품으로써, 창립이래 이제껏 잘 운영되어온 공제회가 망하지 않는다면 일반 은행처럼 안전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2022년 경영성과 발표 자료를 보면 총 자산 57조, 준비금 적립률이 109.2% 로 4.7조원을 초과적립하여 재무건전성이 우수합니다.
4.목돈급여 신청 방법
저는 인터넷으로 목돈급여를 신청했습니다. 가입되어 있는 아이디와 공동인증서가 준비되어 있으셔야합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1) 홈페이지에서 가입신청
2) 아래 온라인신청 클릭
3) 약관들에 동의 후 아래 다음 클릭
4) 목돈급여 유형 선택
비과세종합저축은 자격요건에 해당하시는 분들에 한해 선택합니다.
저는 부과금형을 선택했습니다. 1구좌당 100만원입니다. 유형에 따른 가입금액 한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5) 마지막으로 입금방법까지 선택후 신청완료하시면 됩니다.
저는 CMS입금 방식으로 했으며 신청이 완료되면 카카오톡이나 문자로 CMS입금 관련 계좌와 CMS코드가 메시지로 날아옵니다.
메시지를 받으면 거기 적혀있는 계좌번호와 CMS코드를 입력하여 이체하시면 몇 시간 내로 가입완료 메시지가 오고, 이렇게 목돈급여 신청이 끝납니다. 간단하죠?
모든 과정 완료 후에 홈페이지 마이페이지에서 계약이 완료된 걸 확인하시면 됩니다.
예금특판이나 다른 좋은 조건이 있다면 그 상품을 드셔도 상관없지만 저는 목돈을 안전하고 높은 금리를 적용받는데에 이 상품이 충분하다고 생각하여 가입했습니다. 글을 보시는 여러분들도 잘 생각하셔서 불안한 금융환경에서 목돈을 안전하게 지키시기를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웨딩플래너 비용, 추천, 업체, 제이웨딩 방문후기 (0) | 2023.06.05 |
---|---|
타이어 교체시기, 비용, 교체방법 알아봅시다 (0) | 2023.06.05 |
의정부 민방위 교육 훈련 후기, 장소, 민방위 교육일정 (0) | 2023.04.22 |
인천공항 주차장 사용 방법/주차장 위치, 주차 요금, 주차 예약 (0) | 2023.03.19 |
생활 상식/ 쓰레기 분리수거 방법 (0) | 2023.03.05 |
댓글